국내상장 ETF KB 미국S&P500(H) 배당금 수익률 등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내상장 ETF 중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는 ETF인데요. 기본정보와 투자전략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기본정보
목록 | 내용 |
---|---|
종목코드 | 453330 |
기초지수 | S&P500 Index |
현재주가 | 13,560원 (2024년 7월 2일 기준) |
시가총액 | 365억원 |
투자위험도 | 2등급(높은위험) |
유형 | 해외주식형, 테마 |
상장일 | 2023.03.21 |
괴리율(3개월) | -0.12%~0.27% |
자산운용사 | 케이비자산운용(주) |
국내상장 ETF KB 미국S&P500(H)
✅ 정식명칭 : KB KBSTAR 미국S&P500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H)(453330)
✅기초지수 : S&P500 Index
✅ 시가총액은 365억원으로 규모가 큰 ETF는 아닙니다. 상장일은 2023년 3월 21일입니다.
✅ 괴리율은 2024년 7월 3일기준으로 한달 동안 0.27%정도로 나왔는데요. 안정적으로 추적오차 범위내에서 잘 쫓고 있습니다. 최신 괴리율은 ⌕네이버증권에서 볼 수 있습니다.
2. 투자전략

국내상장
ETF KB 미국S&P500(H)
1) 투자목표
✅ 미국 주식시장(S&P, NASDAQ, CBOE)을 대표하는 업종 상위 500개 기업에 투자하는 환헤지형 ETF 입니다.
2) 운용방법
S&P500은 S&P Dow Jones Indices, LLC에서 산출 및 발표하는 미국 증권시장의 대표 주가지수로 뉴욕상업거래소(NYSE), 나스닥증권거래소(NASDAQ) 등 미국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종목 중 시가총액, 유동성, 산업 대표성 등이 반영된 500개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미국의 나스닥지수와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지수 중 하나인데요. S&P지수도 인덱스, TR 등 여러개로 쪼개어져 있습니다.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INDEX 지수를 추종하여 따라갑니다.
3) 환헤지 여부
✅ KB 미국S&P500(H)는 환헤지가 되는 ETF입니다.
환헤지란 환율변동에 따라 원화의 가치도 함께 움직이는 것을 뜻하는데요. ETF상품 뒤에 (H)라는 표시가 있으면 헷지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KB S&P500 ETF는 헷지가 되지 않는 ⌕ KB S&P500(379780) 펀드도 있으니 두 가지를 다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헷지는 주로 통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는 데 활용이 됩니다. 통화 가치 상승 시에는 추가 이익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환율 변동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환헤지에는 헤지 수수료가 따로 들고 환율이 상승할 때는 잠재적 이익을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종목교체 시기
✅지수변경: 연 4회 분기별 리밸런싱(매년 3, 6, 9, 12월 3번째 금요일 장종료 이후)
그 외에 수시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비중 부분은 수시로 리밸런싱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총 보수율 수수료
✅ 보수율 :연 0.021%
✅ 기타 보수율: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01%, 신탁 : 0.01%, 일반사무 : 0.009%)
➡️ 총 보수율 : 0.243%
✅총 보수율은 1년에 0.243%로 동종유형 총보수 1.860%보다 낮은 보수율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대략 1천만원을 투자한다고 가정했을 때 1년 투자시 25,000원, 2년 투자시 51,000원 3년 투자시 137,000원, 10년 투자시 312,000원의 총 보수비가 발생합니다.
4.투자 실적
국내상장 ETF KB 미국S&P500(H)
목록 | 수익률 |
---|---|
1개월 | +4.58% |
3개월 | +3.39% |
6개월 | +13.56% |
1년 | +22.63% |
1개월 수익률은 4.58%이고 1년 수익률은 22.63%입니다.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KB S&P500(379780)보다 이익률이 낮은데요. 이유는 헤지여부에 있었습니다.
그동안 환율이 계속 올라가면서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게 되었는데요. 이에 헤지가 안되는 헤지 노출형은 환율상승분까지 수익으로 실현을 시켰습니다. 반면 환율에 따라 원화가 같이 움직이는 헤지형은 원화와 환율의 가치가 같이 오르내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익실현이 낮게 반영됩니다.

위처럼 같은 지수를 쫓는 상품인데 헤지 하나에 수익률의 차이가 보입니다. 그동안은 달러가 비싸 원화의 가치 하락으로 헷지를 하지 않은 환노출형 상품이 인기가 많았습니다. 이는 반대로, 앞으로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헷지를 걸어놓은 상품이 더 유리하게 전개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5. 배당금(분배금)지급일 및 과세
목록 | 내용 |
---|---|
1회 배당금 | 12~16원 |
지급방법 | 월배당 |
지급시기 | 매월 마지막 영업일 |
1)배당금
월배당 상품으로 1달에 1번 매월 마지막 영업일에 주당 12원 ~ 16원정도의 배당금이 발생합니다.
2)세금
국내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 15.4%의 이자과세가 붙습니다.
배당금에 대해서도 15.4%의 이자과세가 붙습니다.
6. 포트폴리오(날짜 기준)
국내상장 ETF KB 미국S&P500(H) 배당금 수익률
순위 | 보유종목 | 비중(%) |
---|---|---|
1 | Microsoft Corp | 6.89 |
2 | NVIDIA Corp | 6.31 |
3 | Apple Inc | 6.3 |
4 | 원화예금 | 5.04 |
5 | S&P500 EMINI FUT SEPT 2024 | 4.22 |
6 | Amazon.com Inc | 3.67 |
7 | Meta Platforms Inc | 2.29 |
8 | Alphabet Inc | 2.22 |
9 | Alphabet Inc | 1.86 |
10 | Berkshire Hathaway Inc | 1.53 |
마지막 7월 3일 기준의 KB 미국S&P500(H) 포트폴리오입니다. 구성종목은 마이크로소프트부터 다양한 기업들이 들어 있습니다. 미국S&P500 ETF 들의 구성종목은 똑같습니다. 비중은 운용사마다 차이가 조금씩 있기 때문에 비중을 함께 올려드립니다.
7. ETF KB 미국S&P500(H) 코멘트
국내상장 ETF KB 미국S&P500(H) 배당금 수익률
지금까지 국내상장 ETF KB 미국S&P500(H) 상품 기초정보와 구성종목, 수익률까지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국내상장 S&P500 4가지 상품에 대한 비교글도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