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국채권 ETF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461600 에 대한 기본정보, 포트폴리오구성, 보수율, 수익률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내 미국채권 ETF는 총 33가지가 있습니다.(2024년 7월 17일 기준) 그 중 선물, 레버리지, 인버스를 빼고 남은 종목은 총 10가지입니다. 레버리지와 인버스도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만… 레버리지는 초반에 목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진입하기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미국채권 ETF들만 추려서 정리를 해 두었습니다.
“
1.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기본정보
목록 | 내용 |
---|---|
종목코드 | 461600 |
현재주가 | 9,480 (7월 16일 기준) |
시가총액 | 209억원 |
투자위험도 | 3등급(다소 높은 위험) |
유형 | 해외채권형, 일반 |
상장일 | 2023-07-11 |
괴리율(60일 평균) | 0.06% |
추적오차율(60일 평균) | 4.64% |
자산운용사 | 신한자산운용 |
✅정식명칭: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괴리율은 안정적인 편이나 추적오차율이 큰 편입니다. 이는 액티브형 전략 ETF는 다향한 파생상품에 투자하기 때문에 오차율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국내 미국채권 ETF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461600”
2. 투자전략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461600 투자 전략 | |
---|---|
📌기초지수 | KAP 미국채 20Y+ 지수(시장가격) |
📌산출기관 | 한국자산평가 |
📌종목교체기준 |
–정기변경일: 매월 첫 영업일에 종목 편출입 –특별변경: 지수위원회 특별결의 |
📌환헤지 여부 | O (환율 지수를 따라감) |
📌액티브 여부 | O |
1) 운용방법
한국자산평가(KAP, Korea Asset Pricing)에서 산출·발표하는 비교지수인 “KAP 미국채 20Y+ 지수(시장가격)”의 변동률을 초과하도록 운용함을 목표로 합니다. 투자목적 달성을 위하여 미국 국채 관련 집합투자증권 및 국채선물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① 종목선택전략
- 미국 국채는 수익률 곡선 상 저평가된 구간을 분석하여 포트폴리오에 편입합니다.
- 미국 장기채권 집합투자증권(ETF)는 AUM, 수익률, 변동성, 거래량, Fee, 배당 주기 등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에 편입합니다.
② 듀레이션 전략
- 미국채 30 년 선물 중심으로 금리전망에 따른 선물 비중 조정을 통한 듀레이션 확대 및 축소 전략을 실행합니다.
- 투자기간은 단기적으로 설정하여 추가수익을 추구합니다.
2) 환헤지 여부
환헤지란 선물환 계약 등을 이용하여 펀드의 매수시점과 매도시점의 환율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없애는 것을 뜻합니다. 즉, 해외펀드는 대부분 외화로 해외자산을 사들이기 때문에 도중에 환율이 하락(외화 대비 원화가치 상승)하면 환차손(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종목교체 시기
매월 첫 영업일이 종목교체 및 리밸런싱을 실시합니다.
3. 총 보수율 수수료

✅ 총보수율 연 0.0500 %
✅총보수비용비율(TER) 연 0.1300 %
✅실부담비용율 연 0.1433 % (총보수비용+매매중개수수료율)
보수율은 채권ETF 평균값 정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천만원 투자시 1년에 내야하는 수수료는 매매중개수수료를 빼고 14,000원 정도입니다.
4. 수익률
목록 | 수익률 |
---|---|
1개월 | -0.48% |
3개월 | 5.32% |
6개월 | -2.54% |
1년 | -7.88% |
1개월 수익율은 -0.48%이고 3개월 수익률은 5.32%입니다. 채권 ETF는 금리에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채권 ETF의 수익률은 올라갑니다.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와 비슷한 ETF를 비교해볼텐데요.
같은 액티브형, 헷지전략을 추구하고 있는 ETF와 차트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484790(신규상장)
✅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461600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484790가 신규상장 하였기 때문에 1개월 수익률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수익률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시작점이 달라서 그렇습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와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만 놓고 비교를 해보면 거의 같인 추적범위로 움직이다가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가 더 많이 주가를 회복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5. 배당금(분배금)지급일 및 과세
목록 | 내용 |
---|---|
최근 분배금 | – |
1년 분배율 | – |
지급방법 | 배당없음 |
지급시기 | – – |
1)배당금
배당금이 없는 ETF입니다.
2)세금
개인이 받는 투자신탁의 과세이익에 대해서는 15.4% (소득세 14%, 지방소득세 1.4%)의 세율로 원천징수 됩니다. 이러한 소득은 개인의 연간 금융소득(이자, 배당소득)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분리과세 원천징수로 납세의무가 종결되나, 연간 금융소득(이자,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형별 소득을 합산하여 개인소득세율로 종합과세 됩니다.
6. 포트폴리오
순위 | 보유종목 | 비중(%) |
---|---|---|
1 | T 4 3/4 11/15/53 | 40.45% |
2 | T 2 3/8 05/15/51 | 4.70% |
3 | T 4 1/4 02/15/54 | 4.26% |
4 | T 3 02/15/49 | 2.71% |
5 | T 4 5/8 05/15/54 | 2.61% |
6 | T 3.375 11/15/48 | 2.45% |
7 | T 2.25 08/15/49 | 2.39% |
8 | T 2.875 05/15/49 | 2.31% |
9 | T 2.5 02/15/45 | 2.26% |
10 | T 3 08/15/48 | 2.07% |
미국채는 30% 수준으로 투자하고, 미국 국채 관련 ETF는 각 종목별 20% 이내, 총 40% 이내로 투자합니다. 이를 위해 1배, 2배, 3배의 레버리지 ETF를 활용합니다. 또한, 미국채 30년 선물은 10% 이내로 편입하여 포트폴리오를 보완하는 전략을 추구합니다. 최신 포트폴리오 구성은 ⌕신한자산운용을 참고 바랍니다.
구성종목 상위 5개 국채가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T 4 3/4 11/15/53: 4.75% 금리, 2053년 11월 15일 만기
- T 2 3/8 05/15/51: 2.375% 금리, 2051년 5월 15일 만기
- T 4 1/4 02/15/54: 4.25% 금리, 2054년 2월 15일 만기
- T 3 02/15/49: 3% 금리, 2049년 2월 15일 만기
- T 4 5/8 05/15/54: 4.625% 금리, 2054년 5월 15일 만기
7.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코멘트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의 투자전략과 운용 방향, 수익률 등에 대해 분석해보았습니다. 투자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