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중위소득별 지원사업 종류

기준중위소득별 지원사업 종류 생계급여 대상자에 대한 글입니다. 해당 글에서는 현재 기준중위소득별로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정리해두었습니다. 2024년 조건에서 변경이 없다면 2025년에도 그대로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기준중위소득별 지원사업 알아두기

중위소득별로 지원할 수 있는 국가 사업이 다르기 때문에 이 정보를 알아두시면 신청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중위소득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국민취업제도, 청년도약계좌, 국가장학금 등 활용범위가 넓습니다.

매년 7월말에서 8월초 보건복지부에서 고시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이 5월에 끝나고 1년치작업이 마무리가 되면 이때부터 건보료, 중위소득 산정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발표가 7월말에서 8월초쯤 되고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지원사업은 여기서는 간단하게 이런것만 신청할 수 있다- 정도로 다루고 2025년 최신 글은다음글에서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2025 생계,주거,교육,의료급여>

2025 생계,주거,교육,의료급여

<2025년 기준중위소득 인상발표>

2025년 기준중위소득 인상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내 기준 중위소득이 얼마인지 궁금하다면? >

건강보험료 중위소득 확인하기

2. 기준중위소득별 지원사업 알아보기

1) 중위소득 30% ~ 60%이하

clipboard image 1723743275

✅기초생활수급자 청년들이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이하
  • 교육급여, 기초생활, 차상위, 국민취업제도, 서울형 안심소득: 중위소득 50% 이하

✅해당 기준에 따라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위소득 30% 이하: 청년희망키움통장
  • 중위소득 40% 이하: 희망키움통장 I
  • 중위소득 40% 이상 60% 이하: 희망저축계좌 I
  • 중위소득 50% 이하: 희망저축계좌 II, 희망키움통장 II, 청년저축계좌 (주거·교육급여 수급 가구 및 차상위 대상), 청년내일저축계좌 (차상위 이하)
clipboard image 1723744477

생계급여는 32%가 기준이지만 지자체별로 중위소득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서울시는 47%이하이고 부산과 광주는 45%, 인천과 대구는 50%이하여야 생계급여 대상자가 됩니다.

2) 2025 기준 중위소득 60% 72% 75%

기준중위소득별 지원사업 종류

✅기준 중위소득 60%에서 75% 구간에 해당하는 정책 및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위소득 60% 이하: 한부모 및 조손가족 급여, 취업성공패키지(취성패), 청년 원세지원 사업, 국민취업지원제도
  • 중위소득 65% 이하: 청소년 한부모 급여
  • 중위소득 70% 이하: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
  • 중위소득 72% 이하: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패키지
  • 중위소득 75% 이하: 긴급복지지원 제도

clipboard image 1723744486 1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부터 250% 이하 구간에 해당하는 정책 및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차상위 초과 유형)
  • 중위소득 80% 이하: 기저귀 바우처
  • 중위소득 100% 이하: 중장년 취업성공패키지, 재난적 의료비, 서울형 긴급복지, 경기형 긴급복지, 위기청소년 지원
  • 중위소득 120% 이하: 청년 국민취업제도
  • 중위소득 150% 이하: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 수당
  • 중위소득 250% 이하: 청년도약계좌

이 외에 중위소득구간에 따라 국가장학금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기준중위소득별 지원사업 종류에 마무리

기준중위소득별 지원사업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