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국채권 ETF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 (453850)에 대한 분석입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의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9월 금리인하 시기가 다가오면서 채권을 매수하는 분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채권ETF 중 미국 국채 20년물 이상, 30년물에 투자하는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정보
목록 | 내용 |
---|---|
종목코드 | 453850 |
현재주가 | 8,470(7월 16일 기준) |
시가총액 | 1조 3,942억원 |
투자위험도 | 5등급(낮은위험) |
유형 | 해외채권형, 일반 |
상장일 | 2023.03.14 |
괴리율(60일 평균) | 0.03% |
추적오차율(60일 평균) | 4.19% |
자산운용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 정식 명칭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
➡️ 미국 30년 국채지수를 추종하는 액티브형 헷지 ETF입니다.
✅미국국채 ETF 중 시가총액이 1위인 ETF로 상장된지 1년 4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괴리율은 0.03%로 안정적입니다.
✅ 추적오차율 4.19%가 나오는 이유는 펀드가 기초지수 복제가 아닌 비교지수를 초과하는 성과를 목표로 하는 액티브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 외에 국내 상장 미국 채권 ETF들을 한 곳에 모아놓았습니다.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한 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2. 투자 전략

1) 운용방법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를 비교지수로 삼아 초과 성과를 목표로 운용됩니다. 포트폴리오 구성에 나와있지만 ISHARES 20+ YEAR TREASURY BD (ETF)가 구성종목에 편입되어 있습니다. 이 ETF는 티커명 TLT로 운용사는 블랙록입니다.
- 해당 비교지수는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한 국채(Treasury) 중 잔존만기 20년 이상으로 구성된 장기 국
채지수들을 추종하고 있습니다. - 채권 종류 : 채권 종류 : 미국 채권(US Treasury), 만기상환채(Bullet), 수의상환채(Callable), 수의상환청구채(Putable) 등이 편입되어 있습니다.
✅ 비교지수 성과를 초과하기 위해 주로 미국 국채와 미국 국채 관련 집합투자증권에 투자합니다. 또한, 운용 목적 달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파생상품 및 파생결합증권에도 일부 투자할 수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구성: 미국 국채와 미국에 상장된 장기 국채 ETF에 주로 투자하여 비교지수 듀레이션(가중평균 잔존 만기) 수준의 포트폴리오 구성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 미국 국채 투자: 수익률 곡선상 저평가된 구간을 발굴하여 분석한 후, 30% 이내 수준으로 편입할 예정입니다.
- 장기 국채 ETF 투자: 설정액, 수익률 및 변동성 등을 고려하여 유니버스를 관리하며, 거래량, 보수, 배당 주기 등의 오퍼레이션 모니터링을 통해 40% 이내로 편입할 예정입니다.
2) 환헤지 여부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는 시장 상황에 따라 해외 투자분 순자산가치(NAV)의 90% 이상 ~ 100% 이하 범위 내에서 환율 변동 위험을 헤지할 계획입니다.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는 시장 상황에 따른 환헤지 전략의 실행 여부 및 환헤지 실행 비율 등에 따라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3) 액티브 여부
비교지수 구성 종목 이외의 종목에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일부는 파생상품에도 투자합니다.
4) 종목교체 시기
월1회 실시합니다.
3. 총 보수율 수수료

✅ 총보수율 : 연 0.0500 %
✅ 총보수비용비율(TER) : 연 0.1700 %
✅ 실부담비용율 : 연 0.1963 %
보수율+ 기타 운용비용을 합치면 실 부담비용이 계산됩니다. 실제 부담 비용은 0.19%정도입니다. 투자설명서에 나와있는 보수와 총 보수가 다른 이유는 TEF이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실부담 비용율에는 매매중계 수수료가 들어가 있습니다.
4. 수익률
목록 | 수익률 |
---|---|
1개월 | -0.82% |
3개월 | +3.74% |
6개월 | -3.78% |
1년 | -8.13% |
수익률은 1개월 동안 -0.82%이고 3개월동안 +3.74%입니다.
금리인상, 인하에 따라 채권의 가치가 오르내리기 때문에 수익률이 고금리 시기에는 마이너스일 수 밖에 없습니다. 차트 비교하겠습니다.

미국국채 30년물 금리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의 수익률 비교 차트입니다.
비교지수로 운용을 하고 다른 스왑거래도 함께 병행하기 때문에 100% 복제되지는 않지만 반대의 흐름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채 금리가 하락기에 접어들면서 환헤지를 일부라도 실시하게 되면 원화의 가치를 지킬 수 있으면서 수익률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엔 원금 손실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아까 위에서 TLT ETF가 구성종목에 들어있다고 했는데요. 이 TLT ETF는 미국 국채 중 만기가 20년 이상인 채권에 투자하며,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그럼 TLT ETF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비슷한 흐름으로 가고 있죠? 요즘들어 좀 차이가 벌어지긴 했습니다만 TLT ETF 지수를 따라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같은 기간 1년을 봤을 때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는 10.84%가 떨어졌는데 TLT ETF는 7.59% 정도로 더 적은 하락율을 보였네요.
5. 배당금(분배금)지급일 및 과세
목록 | 내용 |
---|---|
최근 분배금 | 28원 (2024.6.27) |
1년 분배율 | 3.80% |
지급방법 | 월 배당 |
지급시기 | 매월 마지막영업일 (비영업일인경우 직전영업일) |
1) 분배금(배당금)
분배락일 | 분배금액 (원) | 분배율 (%) |
---|---|---|
2024-06-27 | 28 | 0.33 |
2024-05-30 | 26 | 0.32 |
2024-04-29 | 25 | 0.31 |
2024-03-28 | 28 | 0.33 |
2024-02-28 | 27 | 0.31 |
2024-01-30 | 28 | 0.32 |
2023-12-27 | 30 | 0.33 |
월배당을 지급하는 ETF이며 최근 분배일 기준으로 1주당 28원을 지급했습니다.
연간 분배율은 3.80%이며 412개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 상품중 분배율 순위는 44위입니다. 미국국채 ETF 분배율 순위는 다음에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2)세금

매매차익으로 생긴 수익은 배당소득세에 들어가며 15.4%를 제외하고 받습니다.
분배금 역시 배당소득세가 적용되어 15.4%가 잡힙니다.
이 두가지는 2천만원 이상 수익실현, 또는 배당금을 받게 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며, 추가분에 대하여 다른소득과 합산하여 표준세율을 정해 세금이 잡히게 됩니다.
6. 포트폴리오(날짜 기준)
순위 | 보유종목 | 비중(%) |
---|---|---|
1 | ISHARES 20+ YEAR TREASURY BD | 17.99 |
2 | T 4 1/4 02/15/54 | 10.26 |
3 | DRX DLY 20+ YR TREAS BULL 3X | 9.09 |
4 | T 4 1/8 08/15/53 | 4.4 |
5 | T 3 5/8 05/15/53 | 3.99 |
6 | T 3 5/8 02/15/53 | 3.24 |
7 | T 4 3/4 11/15/53 | 1.95 |
8 | [USD] 예금 | 0 |
9 | T 3 3/8 11/15/48 | 0.66 |
10 | T 3 08/15/52 | 0.46 |
2024년 7월 16일 기준 포트폴리오입니다. 최신 포트폴리오는 ⌕ ACE ETF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 ETF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현물 ETF로 운용되는 펀드입니다. 규정상 100%실물 채권을 담기 못하기 때문에 현물채권 + 미국채 30년 ETF 와 미국상장 미국채30년 일별수익률의 3배 레버리지 ETF(TMF US)를 구성종목에 편입시켜 채권을 100% 채우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 ETF코멘트
지금까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금리하락시기에는 매력적인 ETF이나, 현재 상황에서 미래에 떨어진다는 확신을 갖고 포지션을 진입하기엔 아직은 좀… 불안정한 것 같습니다.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다양한 ETF들이 있으니 한번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