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수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수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수 정리에 관한 글입니다. 사회생활을 처음 시작했을때 보통 2400~ 2500정도가 됩니다. 열심히 일하고 난 뒤 과연 한달에 얼마나 받을까요? 직장인의 연봉에 따른 실수령액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월급 빼고 다 오른 2023년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연봉 2500 실수령액표와 부양가족수에 따라 실제로 받게되는 금액은 얼마인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연봉 2500 실수령액표 계산하기

직장인들이 4대보험료로 내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4대 보험 목록

1)국민연금 4.5%

2)건강보험 3.545%

3)장기요양보험(건강보험료의 12.81%)

4)고용보험 0.9%

5)근로소득세(간이세액표에 따른 세금)

6)지방소득세(근로소득세의 10%)

국민연금은 근로자가 4.5% 회사에서 4.5%를 부담하여 총 9%의 금액을 부담합니다. 건강보험 역시 회사와 근로자가 반씩 부담을 하며 고용보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외에 산재보험은 회사에서 내주는 비용이라 공제액에 넣지 않고 계산을 합니다. 그 외에 장기요양 보험료와 지방소득세라고 하는 세금이 또 한번 더 붙어서 계산이 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받는 금액이 내가 계산한 최종 수령액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세금을 내고 나면 실제로 받는 한달 월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금액이 아니고 개인의 상황에 따라 금액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정도구나- 라고 대략적으로 알아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수에 따른 정리

1) 연봉 2500 실수령액 부양가족수 1인

연봉 2500 실수령액표

연봉 2000만원, 2100만원, 2200만원, 2300만원, 2400만원, 2500만원, 2600만원, 2700만원, 2800만원, 2900만원에 대한 실수령액입니다.

부양가족 1인 기준입니다.

2)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수 2인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이 2인일때 실수령액입니다. 2인일때 실수령액이 조금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수 3인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이 3인일때 실수령액입니다. 연봉 기준이 보통 2천만원 이상은 다 하기 때문에 2023최저연봉으로 계산하면 2400정도부터 시작합니다. 이는 하루 최저임금이 9620원이고 월 근로시간이 209시간을 기준으로 했을 때 나오는 연봉입니다.

4)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수 4인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부양가족이 4인일때 실수령액입니다. 최저월급으로 계산했을때 한달에 200만원정도가 나오는데, 4대보험료를 내고 나면 180만원 정도의 실수령액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지 않아서 정리를 하면서도 이게 맞는 금액인가 싶었습니다. 공무원 초봉과 비슷한데, 아래에 공무원 초봉 연봉 및 월급도 함께 올려두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바로가기로 알아보시면 됩니다.

연봉 2500 실수령액표 및 부양가족수에 따라 1인~4인까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2400에 수당이 붙으면 조금더 많겠지만, 그리 많은 금액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연봉 3000만원 월급 실수령액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다음글도 정리 잘해서 올려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찾아보시는 금액이 3천만원대부터인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ssunfla/222962707839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