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배당ETF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미국 테크기업 10곳을 구성한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이 ETF는 매수와 옵션매도 전략을 동시에 실시하는 커버드콜 전략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 ETF의 기본정보, 투자전략, 포트폴리오 구성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정보
목록 | 내용 |
---|---|
종목코드 | 483280 |
현재주가 | 10,160원(7월 26일 기준) |
시가총액 | 2,743억원 |
투자위험도 | 1단계 매우 높은위험 |
유형 | 해외주식형, 스타일 |
상장일 | 2024-05-28 |
괴리율(60일 평균) | 0.15% |
추적오차율(60일 평균) | 1.62% |
자산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 [주식-파생형]
✅투자위험도가 1위인 이유는 상장한지 3년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괴리율 안정적이지만 추척오차율이 조금 벌어져 있습니다.

2. 투자전략
항목 | 내용 |
---|---|
기초지수 | KEDI 미국 AI 테크 TOP10+15%프리미엄 지수(Total Return) |
산출기관 | 한국경제신문 |
산출방식 | 시가총액 방식 |
리밸런싱 | 주식 : 연 4회 (3, 6, 9, 12월 두 번째 수요일) 옵션매도 : 탄력적 |
합성 여부 | X |
환헤지 여부 | X |
옵션 매도 비중 | 0 ~100% |
1) 운용방법
KEDI(한국경제신문)에서 산출·발표하는 “⌕ KEDI 미국AI테크TOP10+15%프리미엄 지수(Total Return) KRW”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운용합니다. 기초지수 매수와 콜옵션지수 옵션매도를 동시에 실시하는 ⌕커버드콜 ETF입니다.
2) 매수포지션
✅ 기초지수 : KEDI 미국AI테크TOP10+15%프리미엄 지수(Total Return, KRW)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 ETF는 테크 주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먼저 NASDAQ에 상장된 보통주와 NYSE에 상장된 ADR 중에서 유동시가총액이 100억 달러 이상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들을 선별하여 총 30개의 종목을 선정합니다.
3) 콜옵션매도 포지션
✅ 옵션 포지션 : NASDAQ1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
✅ 연간 프리미엄 15% 수준의 NASDAQ1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을 매도

차트를 보면 커버드콜 100% 옵션매도 전략은 수익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콜옵션 매도 비중을 조절하게 되면 기초지수의 상승분을 어느정도 흡수 할 수 있습니다. 커버드콜은 횡보장에서 유리한 전략입니다. 커버드콜 ETF를 선택하실 때 옵션 매도 비중이 몇 %가 되는지도 한번 체크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롤오버: 매도대상 콜옵션의 옵션만기일이 도래하면 롤오버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옵션만기일 전일의 나스닥 지수 종가를 기준으로 새로운 행사가를 설정하고, 매도비율을 결정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기존 만기가 도래한 옵션을 새로운 옵션으로 대체함으로써 지속적인 포트폴리오 관리를 유지합니다.
혼합 전략: NASDAQ1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을 활용하여 혼합 포지션을 구성합니다. 이 혼합 전략은 콜옵션 매도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며, 동시에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식과 파생상품을 조합하여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운용합니다.
현금 재투자: 혼합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현금, 즉 배당금과 콜옵션 매도로 인해 발생한 콜 프리미엄을 지수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총수익(Total Return) 지수를 산출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현금을 다시 투자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총수익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환헤지 여부
✅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는 환 노출형입니다.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 ETF는 외국통화표시자산에의 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환율변동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환헤지전략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됩니다.
5) 종목교체 시기
✅ 정기변경 : 주식 포트폴리오는 연 2회(3월, 9월)에 변경, 옵션 포트폴리오는 주 1회 변경
✅수시변경: 개별 종목의 편입 비중이 특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T+1 영업일 주식시장 종료 시점 및 지수 산출 이후에 종목 비중을 조정합니다.
롤오버: 매도대상 콜옵션의 옵션만기일이 도래하면 롤오버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옵션만기일 전일의 나스닥 지수 종가를 기준으로 새로운 행사가를 설정하고, 매도비율을 결정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기존 만기가 도래한 옵션을 새로운 옵션으로 대체함으로써 지속적인 포트폴리오 관리를 유지합니다.
혼합 전략: NASDAQ1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을 활용하여 혼합 포지션을 구성합니다. 이 혼합 전략은 콜옵션 매도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며, 동시에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식과 파생상품을 조합하여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운용합니다.
현금 재투자: 혼합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현금, 즉 배당금과 콜옵션 매도로 인해 발생한 콜 프리미엄을 지수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총수익(Total Return) 지수를 산출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현금을 다시 투자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총수익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재투자 전략은 지속적인 수익 창출과 자산 증식을 목표로 합니다
3. 총 보수율 수수료

✅ 0.390%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359%,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10%)
4. 수익률
목록 | 수익률 |
---|---|
1개월 | -2.13% |
3개월 | N/A |
6개월 | N/A |
1년 | N/A |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 ETF는 상장한지 얼마 안된 ETF이기 때문에 1개월치 수익률만 나와있습니다. 최근 기술주 테마 종목들이 분위기가 좋지 않아 수익률은 마이너스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동안 너무 많이 오르긴 했죠…)

상장 이후로는 1.96%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10%넘게 계속 오르다가 7월들어 상승분에 대한 이익 실현, 트럼프의 반도체 제약 발언, 투자심리 위축등의 이유로 하락의 포물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5. 배당금(분배금)지급일 및 과세
목록 | 내용 |
---|---|
최근 분배금 | 156원(24.6.27) |
1년 분배율 | 1.43%(1개월치) |
지급방법 | 월 배당 |
지급시기 | 매월 마지막영업일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
1)배당금
최근 배당금 1주당 156원입니다. 1.43%의 분배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세금

세금은 매매차익, 분배금 15.4% 부과됩니다. 국내상장 미국ETF 세금은 다음의 글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6. 포트폴리오(24.7.26 기준)
순위 | 보유종목 | 비중(%) |
---|---|---|
1 | NVIDIA Corp | 18.76% |
2 | MICROSOFT | 18.50% |
3 | APPLE Inc | 15.39% |
4 | ALPHABET INC-CL A | 15.20% |
5 | Amazon.com Inc | 10.04% |
6 | BROADCOM LTD | 6.16% |
7 | Meta Platforms Inc-CL A | 5.30% |
8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4.43% |
9 | TESLA MOTORS | 3.27% |
10 | ADVANCED MICRO DEVICES | 2.91% |
포트폴리오 10개 기업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입니다. 이 비중을 보면 ETF마다 조금씩 비중이 다릅니다.
7.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 ETF 마무리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 ETF 투자전략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외에 다른 ETF들도 있으니 궁금하신 것들은 한 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