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세율 뜻 과세표준 계산 방법
종합소득세를 내려고 홈택스에 접속을 하면 종합소득세 세율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금액에 따라서 내가 내야하는 세금이 계산이 되는데요. 세금을 계산하는 방법이 복잡하기도 하고 이게 뭔지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이번시간에는 2023년 종합소득세 세율 뜻 과세표준 계산 방법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종합소득세 세율 뜻
과세표준에 의해 세금을 계산하여 납부해야 되는 세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과세표준 x 세율을 계산할때 사용되는데요.
과세표준이라는 말은 세금을 부과할 때 기준이 되는 것으로 사업자는 상품을 구입하면 세금 계산서에 ‘ 공급가액’이라고 표기가 됩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착각하는게 과세표준 표를 본 후 총 수입액을 넣은 다음 4,600만원이 넘어가면 와… 세금이 24%라고? 합니다. 누진공제액을 빼지 않은채 말이죠.
이렇게 계산하면? 세금폭탄을 맞게 되겠죠. 나라에서 이렇게 세금폭탄을 줄 리가 없습니다. 아래에서 종합소득세 세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은 홈택스에서 자동으로 계산이 되지만, 그래도 어떻게 계산이 되는지는 꼭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2. 종합소득세 세율 과세표준
종합소득세 세율 뜻 과세표준 계산 방법

3.종합소득세 세율 과세표준 계산방법
세금을 납부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과세표준을 구해야 합니다.
과세표준 = 종합소득금액 – 소득공제
이렇게 계산을 1차로 하게 되는데요. 과세표준은 총 소득액이 아닙니다.
소득공제 금액을 한번 빼줘야 되는데 여기에는 기본공제인 인적공제와 경비사용내역 기타등등이 들어갑니다. 이 소득공제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과세표준 금액이 나왔다면 이제 2022년도 과세표준표를 보고 내가 해당되는 구간을 찾아갑니다. 그리고 옆에 누진공제액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누진공제액을 빼줍니다.
원래는 각 구간별로 세율을 곱한 뒤 더해야 하는데, 계산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간단하게 곱한 후 누진공제액을 제외해주면 됩니다. 과세표준 금액이 올라갈수록 세율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누진공제액도 커집니다.
4.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낮추는 방법
위의 공식대로 계산을 해보면 과세표준을 구하는 방법은 종합소득금액 – 소득공제 입니다. 이 소득공제액이 클수록 과세표준 구간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과세표준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득공제액을 높여야 합니다.
1) 경비율을 높인다.
경비로 사용된 금액이 높아야 합니다. 경비처리된 내역을 꼼꼼히 다시한번 살펴서 점검을 합니다.
2) 소득공제액을 높인다.
소득공제로 인정되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인적공제, 경로우대, 장애인, 연금보험료, 특별소득공제, 신용카드 사용금액, 노란우산 공제 등으로 소득공제액을 높일 수 있습니다.
5. 종합소득세 최종금액 계산방법

1) 과세표준을 구한다
종합소득금액 – 소득공제 = 과세표준
2) 산출세액을 구한다
(과세표준 x 세율) – 누진공제액
3) 최종 세액을 구한다
산출세액 – 기납부 세액
첫번째로 과세표준을 구하고 산출세액을 계산한 다음 세금을 비교해서 최종 세액을 결정하게 됩니다.
일반사업자는 부가세를 10%씩 미리 냈을 것이고 프리랜서들은 3.3% 또는 8.8%의 세금을 미리 원천징수 했을 겁니다.
이러한 세금 내역과 내가 낼 세금을 비교 한 후, 최종 세액이 기존에 납부했던 세금보다 적게 나왔다면 환급이고 많이 나오게 되면 세금을 적게 된 것이 되므로 한 번 더 세금납부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종합소득세 세율 뜻 과세표준 계산 방법
총 수입액(매출액)이 8,000만원 인 사업자가 있습니다. 기본공제로 받을 수 있는 것을 계산해보니 물건값, 운영비, 인적공제 등을 통해 4,000만원 정도가 나왔습니다.

- 8,000만원 – 4,000만원 = 4,000만원
- 여기서 4,000만원이 과세표준 금액입니다. 그럼 구간을 볼까요? 세율이 15%이고 누진 공제액은 108만원 입니다.
- (4,000만원x 15%) – 108만원
- 600만원 – 108만원 = 492만원 입니다.
그럼 이사람의 종합소득세 산출세액은 492만원 입니다. 그럼 492만원을 세금으로 내나요? 아니요. 세액공제를 한번 더 한 후에 미납부된 내역이 있는지 본 후 기존에 납부했던 세금과 비교해서 최종 세액이 결정됩니다.
6. 종합소득세 세율 변경안
종합소득세 세율 뜻 과세표준 계산 방법
종합소득세 세율이 23년 1월부로 변경이 되었다는 개정안이 발표가 되었었습니다. 어떻게 변경되었을까요?

서민과 중산층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을 조정하였다고 합니다. 바로 위와 같이 과세표준 금액이 상향되었고 8,800만원 이하는 누진공제액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는 2023년부터 발생되는 소득에 한해 적용이 되므로 우리가 이를 적용하는 시점은 2024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부터 입니다.

소득세법에 나와있는 변경 안 법령 자료입니다. 빨간줄 쳐진 곳을 읽어보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종합소득세 세율 뜻 과세표준 계산 방법 등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세금 납부하실때 어떤식으로 계산이 되는지 잘 알아두셨다가 빼먹은 것 없이 꼼꼼히 기입하셔서 과세표준 구간을 낮추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