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10분위 가구별 지원구간 경곗값
국가장학금을 신청하기 위해 여러 조건들을 검색하여 찾다보면 계속 “소득분위 경곗값”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국가장학재단 홈페이지에는 4인가족을 기준으로 나와있기 때문에 가구원수가 적거나 많은 대상자들은 이것을 다시 한번 찾아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10분위 가구별 지원구간 경곗값 등을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10분위

1년에 한번씩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는 기준중위소득과 연계되는 지원구간 경곗값은 기준중위소득을 게산하여 경곗값이 조정됩니다. 학기별로 매년 다르기 때문에 신청기간이 되어야 얼마인지 금액을 알 수 있는데요.
지원구간 경곗값에 따르는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똑같은 비율 즉 퍼센트로 산정이 되며 구간별로 중위소득 비율을 보시면 본인이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내 지원 구간 확인하는 방법
산정구간인 경곗값은 기준 중위소득으로 산정된다고 했습니다. 그럼 이제 여기에 부모님의 소득과 재산 부채 등을 모두 넣고 소득으로 환산을 하여 “소득인정액”이라는 것을 산출해냅니다.
이렇게 계산을 하고 난 뒤 자격이 되는지 여부가 발표가 되는데요. 소득인정액은 미리 계산을 해볼 수도 있습니다.

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10분위 가구별 지원구간 경곗값
가구 인원수에 따른 지원구간 경곗값
가구원수에 따른 국가장학금 지원구간 경곗값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표를 정리하다보니 기준중위소득 200%이내가 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 물론 여기에는 차량과 재산도 함께 계산이 됩니다.
1인 가구 ~6인가구 별로 되어 있으며 여기서 기준 중위소득은 중위소득 비율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8구간 이내에서 지원이 되는데 구간별로 지원되는 금액 또한 다르게 결정된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1 인가구

2. 2인 가구

3. 3인 가구

4. 4인 가구

5. 5인 가구

6. 6인 가구

표를 정리해보자면 8구간 이내일 때 지원이 되는데요. 이는 또 1유형 2유형 , 다자녀 등 유형별로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다릅니다. 위의 소득구간에 들지만 자격이 되지 않는다면 소득인정액 계산이 잘못된 것이므로 다시한번 점검이 필요하며 소득인정액을 낮추는 방법을 고민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10분위 지원구간 경곗값에 따 가구인원수별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뭔가 계산이 복잡하지만 신청서를 넣으면 게산은 한국장학재단에서 알아서 해주기 때문에 안될까? 될까? 고민하지 마시고 넣어보시길 바랍니다. 하반기 공지가 뜨면 또 따로 바뀐 사항에 대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