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연봉 실수령액 5000 6000 1억
2023 연봉 실수령액 5000 6000 1억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이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계산기를 통해서도 얼마를 받게 되는지 알 수 있는데요. 실제 받게 되는 금액은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실수령액과 왜 차이가 나는지 등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봉계산기로 바로 가실 분들은 아래의 사람인 연봉계산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좀더 편하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또한, 연봉 3천만원 대의 실수령액은 아래에서 보시면 됩니다.
2023 연봉 실수령액 세금
연봉을 계약하고 나면 4대보험 및 소득세와 지방세등의 세금을 납부하고 월급을 받게 됩니다. 4대보험 중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50%씩 부담을 해서 납부하게 되는데요. 납부하게 되는 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연금
근로자/ 사업주 50%씩 부담 4.5%
2) 건강보험
근로자 / 사업주 50%씩 부담 3.545%
3) 장기요양 보험료
건강보험료의 12.81%
근로자 / 사업주 50%씩 부담 6.4%
4) 고용보험
근로자 0.9%
5) 소득세
6) 주민세
여기서 소득세는 근로소득세라는 것으로 다른말로 원천징수라고도 합니다. 근로자의 월급 금액에 따라 나라에서 만들어 놓은 세금표가 있습니다. 이를 간이세액표라고 합니다. 이 세액표는 개인의 월급 금액 구간을 1차로 잡고 부양가족 수에 따라 공제되는 금액이 정해져서 세금 산정이 이루어 집니다.
따라서 연봉계산기로 계산을 해보아도 실제 받는 월급은 10만원 이상 차이 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연봉계산기로 계산을 한 후에 소득세 부분이 실제 간이세액표와 맞는지 다시한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간이세액표와 관련된 포스팅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열어보시면 2023년 개정된 간이세액표 엑셀파일이 있습니다.
그럼 이제 연봉 5000, 6000, 1억에 대한 실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인 기준 금액이며 가족수에 따라 보험료가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계산기를 통해 계산을 했을 때 소득세가 8만원인데 실제 나간 돈은 18만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2023간이세액표 자료를 보시고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2023 연봉 실수령액 5000 6000 1억
1. 연봉 실수령액표 4,000 ~ 4,900만 원

2. 연봉 실수령액표 5,000 ~ 연봉 5,900만 원

3. 연봉 실수령액표 6000 ~ 6900만 원

4. 연봉 실수령액표 7000 ~ 7900만 원

5. 연봉 실수령액표 8000 ~ 8900만 원

6. 연봉 9000 ~ 9900만 원

7. 연봉 1억 ~ 1억 900만 원

지금까지 연봉 실수령액 5000, 6000, 1억 구간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