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소득분위 확인

2023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소득분위 확인

2023년 1학기 상반기 학자금 지원은 끝이 났고 2학기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지원구간이라는 용어 대신에 소득분위라는 말을 썼었는데요. 현재는 두가지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3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소득분위 확인 등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이란?

우선적 학자금지원 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소득·재산 조사를 통해 산정한 학생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재단의 학자금 지원구간 구간표에 적용하여 결정한 구간값을 뜻합니다.

가구원의 동의를 거쳐 학생, 부모 또는 배우자의 소득,재산을 조사하여 소득인정액을 산정하게 됩니다. 이렇게 소득인정액을 산정하게 되면 학자금 지원구간이 산정이 되는데요.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형제·자매 수에 따른 공제액

으로 계산이 됩니다. 이 경곗값은 매학기 선정이 바뀌는데, 4인 가족 기준 1학기를 기준으로 올려보겠습니다.

2023년 1학기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2023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소득분위 확인

위에서 체크하셔야 할 것은 8구간입니다. 4인가족이 월 평균 10,801,446원의 소득 이하여야 학자금 지원 자격이 주어집니다. 지원이구간의 숫자가 클수록 장학금 지급액도 줄어들게 됩니다.

학자금 지원구간 값은 ‘월 소득인정액’으로 소득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의 합계인데,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은 기준중위소득 x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으로 계산이 된다.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소득인정액을 먼저 계산한다.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형제·자매 수에 따른 공제액

->학자금 지원구간 값

2)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을 계산한다.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 기준중위소득 x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

기준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에서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뜻합니다.

중위소득이 궁금하신 분을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3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소득분위 확인

우리집의 소득분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소득분위별 소득인정액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체크하셔야 할 점은 미혼인 경우 신청자 본인을 포함해 부모님의 소득재산을 합산하면 되고 형제,자매는 계산에 넣지 않습니다. 결혼을 했다면 본인을 포함하여 배우자만 넣고 부모님, 형제, 자매는 계산에 넣지 않습니다.

2023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소득분위 확인

위와 같이 소득인정액을 모의로 계산해 볼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을 계산한 후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모의 계산으로 조건이 갖추어 졌는데 탈락했을 경우는 소득분위를 낮춰야 합니다.

소득분위를 낮추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요. 가장 흔히 할 수 있는 방법이 가족의 소득을 낮추기 위해 조건을 갖추어서 세대분리를 하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된 포스팅은 또 올려보겠습니다.

지금까지 2023년학자금 지원구간 및경곗값 소득분위 확인 방법등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