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 매매차익 세금 혜택 만기 계산방법

ISA계좌 매매차익 세금 혜택 만기 계산방법

ISA계좌 매매차익 세금 혜택 만기 계산방법 등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ISA계좌를 개설하고 3년동안 잘 운용해서 수익이 난다면 세금을 얼마나 내야할까요? 세금계산이 어떻게 되는지 최종적으로 내야 하는 세금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ISA계좌에 대해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ISA계좌 관련된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ISA계좌 매매차익

image 50

ISA계좌의 매매차익을 계산하는 방식은 일반 계좌 계산 방식과 다릅니다.

일반 과세방식은 바구니마다 과세 15.4%가 붙습니다. 하지만 ISA계좌에서는 이익- 손실을 계산해서 한 바구니안에서 모두 계산이 됩니다. 이를 손익통산이라고 하는데요.

ISA계좌를 3년동안 운용하고 해지할때 3년치를 결산하여 매매차익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ISA계좌 만기 세금혜택

ISA계좌 매매차익 세금 혜택 만기 계산방법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일반계좌와 ISA계좌의 이자를 비교해 봤습니다. 만약 일반계좌에서 총 800만원의 수익이 났고 300만원의 손실이 발생했다면 과세기준 800만원의 15.4%인 약 120만원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하지만 ISA계좌에서 똑같이 수익이 난다고 했을 경우 총 매매차익에 대한 손익만을 계산하기 때문에 과세기준은 500만원이 됩니다.

일반형계좌를 가졌을 경우 500만원까지 비과세가 되기 때문에 만기 수령시 납부할 세금은 0원입니다.

ISA계좌 만기 세금 계산 방법

ISA계좌 매매차익 세금 혜택 만기 계산방법

또 다른 예를 들어보았습니다.

일반 투자시 이익이 600만원 생겼다면 이자는 924,000원이고 이금액은 나중에 금융소득에 잡히게 됩니다. 이렇게 생긴 이자소득이 2천만원이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자가 되는 것입니다.

ISA계좌를 통해 똑같이 600만원의 수익을 거둬들였다면 일반형 기준 500만원까지 비과세가 되고 나머지 100만원은 저율과세인 9.9%이 세금만 납부하면 됩니다. 세금은 99,000원입니다.

그리고 이 세금은 분리과세로 처리되어 이익금액이 얼마가 되든지간에 금융소득에 합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세금을 아낄수 있는 ISA계좌가 인기가 높아지게 된것이죠.

투자자들에게는 세금으로 납부하는 돈이 정말 아깝습니다. 배당주나 ETF에 투자하실 계획이라면 ISA계좌는 필수로 만들어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신탁형을 선택하여 예적금상품으로 운용을 할지 투자중개형으로 만들어서 주식이나 펀드, ETF에 투자를 할지를 결정하시면 되는데요. 은행상품 같은 경우는 상품이 170여개 정도라 다 끌어오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3년이라는 기간이 좀 걸리긴 하지만 그래도 비과세+저율과세+분리과세 혜택까지 있기 때문에 단점이 부각되어 보이지 않습니다.

만약 신탁형 ISA계좌로 가입 가능한 은행상품 예금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신탁형 ISA계좌 예금 상품을 찾는 방법을 읽어주시면 됩니다.

증권사 투자중개형 ISA계좌 추천 이벤트도 모아서 정리해놓았으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