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상장 미국ETF 중 S&P500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총 15가지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운용보수율이 낮음을 내세우고 있는 KBSTAR 미국S&P500 국내ETF 배당금 수익률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KBSTAR 미국S&P500 기본정보
KBSTAR 미국S&P500 국내ETF 배당금 수익률
목록 | 내용 |
---|---|
종목코드 | 379780 |
기초지수 | S&P 500 Index (KRW)(T-1) |
현재주가 | 16,465원 (2024년 6월 30일 기준) |
시가총액 | 4,347억원 |
투자위험도 | 2등급(높은위험) |
유형 | 해외주식형, 시장대표 |
상장일 | 2021-04-09 |
괴리율(3개월) | -0.11%~0.22% |
자산운용사 | 케이비자산운용(주) |
✅정식 명칭 : KB KBSTAR 미국S&P500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 주식 60% 이상, 관련 ETF 40% 이하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상장일은 2021년 4월 9일이고 시가총액은 4,347억원 입니다.
✅괴리율은 최근 1개월은 0.22%입니다.(2024년 6월 30일 기준) 추적오차가 거의 차이 없이 기초지수를 바짝 밀착하여 쫓고 있습니다.
다른 운용사의 ETF상품은 아래에 정리해 두었으니 한 번씩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현재 합성, 선물, 헷지 등으로 운용되는 ETF 상품을 제외하고 같은 ETF는 총 9가지입니다. 그 외에 헷지형이 4가지 있고, 분배금을 재투자 하지 않는 TR형이 3가지가 있습니다. 아래는 가장 대표적인 타이거, SOL, 에이스 미국S&500 ETF 에 대한 설명입니다.
KBSTAR 미국S&P500 국내ETF 배당금 수익률
2. KBSTAR 미국S&P500 투자전략

KBSTAR 미국S&P500 국내ETF 배당금 수익률
1) 투자목표
✅ KBSTAR 미국S&P500 ETF는 ‘S&P500 지수의 원화환산지수(환헤지 안함)’의 수익률과 유사한 수익률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ETF)입니다.
2) 운용방법
✅ S&P500 지수(S&P500 Index)는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 중 하나로, 뉴욕상업거래소(NYSE), 나스닥증권거래소(NASDAQ) 등 미국 주요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중 기업규모, 유동성, 산업 대표성 등을 고려하여 선별된 500개의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 S&P500 지수는 정보기술, 금융, 헬스케어,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군을 포함하고 있어, 특정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분산투자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S&P500 지수는 미국을 대표하는 대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플(App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아마존(Amazon), 테슬라(Tesla), 엔비디아(NVIDIA) 등 혁신적인 성장주뿐만 아니라,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엑손모빌(ExxonMobil) 등 대표적인 배당주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종목들이 포트폴리오에 포함됨으로써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습니다.
3) 환헤지 여부
✅ 해외 자산에 대해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는 환노출형입니다.
원화(KRW)와 투자 대상국 통화 간의 환율 변동에 따라 투자 자산의 가치가 변동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해당 외화 투자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더라도, 원화와 투자 대상국 통화 간의 상대적인 가치 변화로 인해 투자 수익을 얻지 못하거나, 심지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환노출형의 장점은 투자대상국 통화가 강세를 보일 때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환헤지 비용이 없어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환노출형 투자는 달러가 원화 대비 상승하는 시기에 유리하며, 달러가 하락하는 시기에는 불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종목교체 기준
✅ 리밸런싱은 1년에 4번 분기별로 이루어집니다.
3. 총 보수율 수수료
KBSTAR 미국S&P500 국내ETF 배당금 수익률
➡️총보수 : 연 0.021%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01%, 신탁 : 0.01%, 일반사무 : 0.009%)
➡️총보수 비용 : 0.098%
✅ 총보수는 연 0.021%인데, 총 보수비용을 따져봐야 합니다. 총 보수비용은 0.098%로 거의 0.1%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1,000만원 투자 했을 경우 투자기간별 지불하게 되는 총 비용은 1년에 10,000원, 2년에 21,000원, 3년에 32,000원, 5년에 56,000원, 10년에 127,000원정도 입니다.
이계산은 선취판매 수수료가 일정하고, 이익금은 모두 재투자 하며 연간 수익률이 5%라는 가정하에 나오는 비용입니다.
동종유형 펀드의 평균 총 보수비용은 1.860%정도로 나왔습니다.
4. 수익률
목록 | 수익률 |
---|---|
1개월 | +4.95% |
3개월 | +7.45% |
6개월 | +23.05% |
1년 | +33.68% |
✅ 수익률은 1개월 4.95%이고 6개월 23.05% 1년동안 33.68%가 성장했습니다.
S&P500지수가 고금리 상황에서도 꾸준히 상승할 수 있었던 이유는 AI시장 때문이기도 하고, 2024년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정도 반영된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 S&P500지수와 KBSTAR 미국S&P500 ETF의 추적지수입니다. 시작점은 같은데 KBSTAR 미국S&P500 ETF의 상승이 더 도드라지는데요.
✅ 같은 기간 S&P500지수는 15.13% 상승했고 KBSTAR 미국S&P500 ETF는 21.60%가 상승했습니다.
✅ 이는 KBSTAR 미국S&P500이 환노출형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저 시기쯤 환율이 계속 오르고 있었고, 때문에 더 많은 상승여력을 이끌어 낼 수 있었습니다.
5. 배당금(분배금)지급일 및 과세
목록 | 내용 |
---|---|
1회 배당금 | 50원 |
지급방법 | 분기지급 |
지급시기 | 3, 6, 9, 12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
✅ 배당금은 1년에 4번 이루어지며 2024년 1분기, 2분기 배당금은 1주당 52원이었습니다.
✅ 세금은 매매 및 배당금에 대해 15.4%의 과세가 붙습니다.
개인연금 100% 투자 가능하고, 퇴직연금 DC형, IRP형은 70% 투자 가능합니다. 투자중개형ISA에서 매수를 하면 나중에 매도시에도 이익금에 대해 200만원까지(2024년 기준)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6.포트폴리오(날짜 기준)
순위 | 종목명 | 비중% |
---|---|---|
1 | Microsoft Corp | 6.89 |
2 | Apple Inc | 6.31 |
3 | NVIDIA Corp | 6.24 |
4 | S&P500 EMINI FUT SEPT 2024 | 6.08 |
5 | 원화예금 | 5.99 |
6 | Amazon.com Inc | 3.71 |
7 | Meta Platforms Inc | 2.33 |
8 | Alphabet Inc | 2.23 |
9 | Alphabet Inc | 1.87 |
10 | Berkshire Hathaway Inc | 1.51 |
포트폴리오 비중은 2024년 6월 29일 기준 위와 같이 잡혀있습니다. 만약 최신 포트폴리오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공식홈페이지에서 ETF 검색을 통해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 KBSTAR 미국S&P500 국내ETF 배당금 수익률
KBSTAR 미국S&P500 국내ETF 배당금 수익률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투자전략까지 분석해보았습니다.
KBSTAR 미국S&P500 국내ETF는 총 보수율이 낮은 상품으로 장기투자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단, 투자 전 동일한 테마를 갖고 있는 타 운용사의 ETF도 비교를 꼼꼼히 해보시길 바랍니다.
보수율이 얼마 차이 나지 않는다면 시가총액이 크고 거래가 활발하며 리밸런싱을 분기가 아니더라도, 지수의 변동이 크다면 그때그때 대응해주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