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상장 미국 채권 ETF 중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 (484790)에 대해 분석한 글입니다. 신한자산운용에서 출시한 해당ETF는 출시한지 이제 한 달차인 헷지형 펀드입니다. 종목분석, 투자전략, 수익률, 포트폴리오 구성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기본정보
목록 | 내용 |
---|---|
종목코드 | 484790 |
현재주가 | 9,870(7월 16일 기준) |
시가총액 | 2,102억 |
투자위험도 | 5등급(낮은위험) |
유형 | 해외채권형, 일반 |
상장일 | 2024.06.18 |
괴리율(60일 평균) | -0.12% |
추적오차율(60일 평균) | 2.26% |
자산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 정식명칭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미국 30년 국채지수를 추종하는 액티브형 헷지(H) ETF입니다.
✅상장한 지 한 달 정도 된 ETF로 투자등급은 5등급입니다.
✅ 괴리율은 -0.12%이고 추적오차율은 2.26%입니다. 액티브형은 추적오차율이 기초지수 복제형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양한 국내채권형 ETF 상품들은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2. 투자전략

1) 운용방법
✅ KEDI-KAP US Treasury 20+ Years Bond Index(TR)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 성과를 목표로 하는 액티브 상장지수 펀드입니다.
- KEDI-KAP US Treasury 20+ Years Bond Index(TR)지수는 한국경제신문에서 산출·발표하는 지수입니다.
2) 환헤지 여부
✅ 환관련 파생상품(FX스왑, 달러선물)을 활용하며 기간별 비용 분석을 통해 환헤지 비용 절감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노출된 외화 표시 자산에 대해 환헤지 전략을 실행합니다.
헤지 전략으로 운용이 되면 금리하락시 원화의 가치를 지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변수에 의해 환 노출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환헤지도 수수료가 붙기 때문에 총 보수율이 환노출형보다는 살짝 높게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 상품 보수율을 비교해보니 다른 ETF에 비해서 낮은 편에 속합니다. 보수율은 아래에 있습니다.
3) 종목교체 시기
매월 첫 영업일마다 종목 리밸런싱을 실시합니다.
3.총 보수율 수수료

✅ 총보수율: 연 0.0150%
✅ 총보수비용비율(TER): 연 0.0200%
✅ 실부담비용율: 연 0.0678%
실부담 비용율은 매매중개 수수료를 포함한 비용입니다. 총 보수비용만계산하면 0.045% 정도로 1천만원을 투자했을 경우 5천원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미국국채 ETF의 평균 실부담비용이 0.17%인것을 감안하면 보수율이 정말 부담 없는 편입니다!
4. 수익률
목록 | 수익률 |
---|---|
1개월 | +0.82% |
3개월 | N/A |
6개월 | N/A |
1년 | N/A |
1개월 동안 수익률은 +0.82%입니다. 아직 다른 기간에 대해서는 수익률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30년 미국국채 금리와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 H의 수익률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좀 더 데이터가 쌓이면 다른 ETF와도 비교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비슷한 시기에 출시한 미국국채 ETF와 비교를 해볼텐데요.
2024년 5월 20일 출시한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와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는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지수를 비교지수로 담고 있습니다.

1개월을 비교했는데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가 1% 하락하는 동안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는 0.25%하락에 그쳤습니다.
비교지수가 다르고, 포트폴리오 구성이 다르며 환노출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1달동안 환율이 계속 올랐는데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의 지수가 0.25%밖에 안 떨어진거면 운용을 안정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5. 배당금(분배금)지급일 및 과세
1)배당금
목록 | 내용 |
---|---|
최근 분배금 | – |
1년 분배율 | – |
지급방법 | 월 배당 |
지급시기 | 매월 마지막영업일 (비영업일인경우 직전영업일) |
월배당 ETF이며 아직 배당정보가 나온게 없습니다. 월말이 되어 업데이트 되면 수정해 두겠습니다.
2)세금

세금은 매매차익 15.4%, 분배금 15.4%입니다. 두 가지 유형의 소득 모두 배당소득세에 해당되어 2천만원 이상 수익 실현 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될 수 있으며 건보료 인상 또는 피부양자 박탈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연금, 퇴직연금에서 투자하거나 중개형ISA계좌를 꼭! 활용하셔야 합니다. 중개형 ISA계좌를 활용하지 않고 일반 증권계좌에서 거래하시면 손익통산이 되지 않습니다.
6. 포트폴리오(7.16일 기준)
순위 | 보유종목 | 비중(%) |
---|---|---|
1 | SPDR Portfolio Long Term Treasury ETF | 27.96 |
2 | Vanguard Long-Term Treasury ETF | 27.95 |
3 | Vanguard Extended Duration Treasury ETF | 15.22 |
4 | T 4 5/8 05/15/54 | 15.07 |
5 | T 1 3/8 08/15/50 | 8.76 |
6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 5.05 |
7 | 설정현금액 | 99,036,024 |
8 | 원화현금 | 3,141,062 |
마지막 포트폴리오 구성입니다. 조회날짜 2024년 7월 16일 기준입니다. 하나씩 보겠습니다. 이 ETF는 다른 액티브형과 다르게 모두 국채로만 설정되어 있습니다. 파생 상품이 들어있지 않아 보수율이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 SPDR Portfolio Long Term Treasury ETF (SPTL): 장기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 Vanguard Long-Term Treasury ETF (VGLT): Vanguard에서 제공하는 이 펀드는 장기 미국 국채 투자
- Vanguard Extended Duration Treasury ETF (EDV): 이 펀드는 더 긴 기간의 미국 국채에 투자하여, 금리 변동에 민감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T 4 5/8 05/15/54: 2054년 5월 15일에 만기가 되는 쿠폰 금리가 4.625%인 미국 국채입니다.
- T 1 3/8 08/15/50: 2050년 8월 15일에 만기가 되는 쿠폰 금리가 1.375%인 미국 국채입니다.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이 ETF는 20년 이상의 만기를 가진 미국 국채에 투자합니다.
설정현금액은 펀드 초기 투자자들이 투자한 총 금액을 의미하며, 원화현금은 환율 리스크 관리와 유동성 확보를 위해 펀드가 보유하는 한국 원화 자산입니다.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의 최신 포트폴리오 비중은 한번 더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 코멘트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 (484790)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궁금했던 정보를 적어보았는데 어떠셨나요? 다른 국채ETF 관련 글들도 준비되어 있으니 한번 싹 읽어보시고 지식을 습득하는데 도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